본문 바로가기
장바구니

상품 검색

농장 주변 볼거리

농장 주변 볼거리

계룡산 이야기
계룡산

계룡산은 1968년 국내에서 두번째로 지정된 국립공원으로 해발 845.1m의 독립된 명산으로 산세가 수려하며 "닭의 벼슬을 쓴 용의 모습" 같다 하여 계룡산으로 부르게 되었으며 행정구역상으로는 충남 공주시에 주로 위치하면서 일부가 대전광역시와 논산시에 걸쳐있다. 계룡산은 나라에서도 주목한 명산으로서 나라에서 큰 제사를 지내던 곳이었다. 백제때 이미 계룡 또는 계림산등의이름으로 바다건너당나라까지 알려 졌던계룡산은,차령과 노령 두 산맥사이에 이룩된 잔구성 산지로서 석영반암이 융기한 군봉이 장관이다.

주봉인 상봉(천황봉 845.1m)을 비롯하여 연천봉(738.7m), 삼불봉(775.1m), 문필봉(796m) 그리고 관음봉·황적봉·도덕봉·신선봉 등 크고 작은 여러 봉우리들이 연봉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봉우리 사이에는 7개의 계곡과 3개의 폭포가 있어 운치를 더해주며, 골짜기에는 동학사· 갑사·신원사 같은 유서깊은 사찰들이 위치한다. 역사적으로도 일찍이 삼국시대부터 큰 절이 창건되었는가 하면, 신라 5악의 하나인 서악이었으며, 조선시대초에는 주요한 왕도 후보지로서 건설되다가 중단 되었고, 「정감록」에는 도읍지뿐 아니라 피난지로도 적혀 있어 도참설의 주요 근거지로 여겨졌다.

근대 이후에도 신도안을 중심으로 이른바 「신흥종교」들의 본산이 되었다. 계룡산이 이처럼 민간신앙의 중심이 될 수 있었던 것은 계룡산 자락이 신기가 넘칠 만큼 깊고도 품이 넓다는 뜻이기도 하겠다.

계룡산

이중환은 「택리지」에서 "산 모양은 반드시 수려한 돌로 된 봉우리라야 산이 수려하고 물도 또한 맑다. 또 반드시 강이나 바다가 서로 모이는 곳에 터가 되어야 큰힘이 있다."하고는 나라안에 이런 곳이 네 군데 있으니 개성의 오관산, 한양의 삼각산, 문화의 구월산과 함께 계룡산을 꼽고 있다. 그는 계룡산의 웅장함에는 오관산만 못하고 수려함에는 삼각산보다 못하나, 그 맥이 멀고 깊어 정기를 함축하였다고 했다. 계룡산의 아름다움, 그리고 거기에 담겨있는 신령스런 분위기를 묘사한 글들이 많다. 그러나 그 중 가장 빼어난 것으로 위에서 명기한 조선왕조 성종때 문장가인 서거정의 한시「공주십경시」중 「계룡산의 한가로운 구름」을 들지 않을수 없다.

계룡산을 읊은 시로 이만하면 가히 절묘의 극치를 다한 시라고 감탄하지 않을수 없다. 계룡산과 맥을 같이하는 공주시의 주변 산들도 수려하기가 이를데 없다. 공주분지를 둘러싸고 있는 산들은 월성산(313m)을 최고봉으로 하여 대체로 200m미만의 작은 산들인 공산성·주미산·봉황산·연미산·취리산 등이 있다. 금강은 이들 산지를 뚫고 공주시가지 북쪽에서 마치 띠를 두른 듯 동쪽에서 서남을 관류하고 있는데, 금강에 아지랑이가 덮이고 동녘 산이 밝아오는 즈음에 봉황산에라도 올라보면 공주의 산수 풍경은 조물주가 아니면 가히 만들수 없는 한폭의 산수화가 바로 그것이다.

계룡산의 전설, 설화

계룡산은 논산과 공주의 영산(靈山)으로 한국의 오악 중의 하나로 꼽힌다. 이처럼 신통한 정기는 신도안으로 뻗쳐서 신도안이야말로 명당 중의 명당이라고 말한다. 이리하여 신도안은 이성계가 왕도로 정했던 곳이기도 한데, 여기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있다.

계룡산

지금으로부터 5백년전, 고구려를 쓰러뜨린 이성계는 새로운 도읍지를 찾기 위하여 우리 나라를 모두 헤맨 끝에 지금의 신도안으로 결정하였다. 그것은 고려때부터 신도안이 도읍지로 더 없이 좋다는 이른바 도참설도 있었지만, 이성계 자신도 제일 좋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렇게 결정이 되자 대궐을 건축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공사가 분주하게 진행되었다. 당시 천하를 손아귀에 쥐고 호령하던 이성계라 일은 아주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그렇지만, 대궐을 짓는 일이란 원체 큰일이라 이성계는 계룡산에 있는 사연봉(四連峰)에 올라가 제단을 차려놓고 하늘에 빌었다.이때, 이성계가 기도하던 곳이 태조대왕 기도굴이라는 이름으로 오늘날에도 전하여 오고 있다. 공사는 척척 진행되어 구획정리가 되고 주춧돌이 놓여졌다. 이렇게 반년쯤 일이 진행되었을 때였다.

그날도 이성계는 계룡산에서 기도를 하고 있었다.
그때, 문득 하얀 할머니가 나타났다.

“나는 계룡산 할머니(산신령)인데 여기는 정도령의 도읍지니 공사를 중지하고 다른 곳으로 가거라.” 계룡산 할머니는 이렇게 말하면서 계룡산은 언젠가 계룡산의 정기를 타고 정도령이란 신인(神人)이 나와서 그가 이곳에다 도읍을 정하고 왕이 되어 8백년간 그의 도읍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성계는 그를 우러러 보았다. 위엄있는 풍채에 놀라 스스로 머리가 숙여졌다. 이성계는 아무 말도 못하고 있다가 그를 우러러 보며 애원했다.

“지금 주춧돌까지 놓았는데 어떻게 하란 말입니까?”

“만약 더 공사를 계속하면 앞으로 큰 화가 미치어 그대는 생명이 위태로울 것이니라”

“그럼 어느 곳으로 가서 도읍을 정해야 할지 그 곳을 가르쳐 주시오면 고맙겠습니다”

“여기서 5백리 북쪽으로 올라가 그곳에 가서 도읍을 정하여라. 그곳이야말로 그대의 도읍지가 되어 5백년간 좋은 왕도가 될 것이니라.”

계룡산 할머니는 마치 서릿발처럼 카랑카랑한 목소리로 말했다. 그가 이렇게 카랑카랑한 목소리로 말을 할 때마다 이성계도 몸을 움찍움찍했다. 그러다가 눈을 크게 뜨고 보니 계룡산 할머니는 흔적도 없이 어디로 사라지고 없었다. 이리하여 이성계는 반년간 계속한 공사를 그만 두게 되었다. 이렇게 되자 수많은 일군들은 일을 멈추고 신에 묻었던 흙을 한곳에 털었는데 그 흙이 모여 지금의 신털봉이 이뤄졌다고 한다. 한편 주춧돌이 묻혔던 곳에는 아이를 밴 여자가 쇠붙이를 묻으면 아들을 낳는다는 소문이 돌아서 아이를 가진 여자들은 너도 나도 쇠붙이를 묻었다고 한다.

계룡산 서쪽에 있는 신원사를 짓는데는 바로 이 쇠붙이를 캐서 보태썼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연천봉

하늘과 맞닿아 있는 봉우리란 뜻에서 연천봉이라 하였다.

계룡산
계룡산

관음봉

네계룡산 중앙에 위치한 봉으로 정상에 전망대가 세워져 있다. 계룡산을 대표하여 공주 10경에도 포함된 이 곳에서 하늘을 떠다니는 구름을 보면 신선이 된 듯한 기분이 든다.

문필봉

네게의 봉우리가 봇을 거꾸로 세워 붓끝을 하늘로 세워 놓은 모습을 하여 문필봉이라 한다. 멀리서 보면 세 개의 봉우리같으나 가까이서 보면 봉우리가 네 개로 이루어져있다 연천봉 하늘과 맞닿아 있는 봉우리란 뜻에서 연천봉이라 하였다.

계룡산
계룡산계룡산

삼불봉

부처님 세분이 천황봉을 싸안드시 서있는 형상을 하셨다 하여 삼불봉이란 이름으로 불리운다. 한편 풍수가들은 이곳이 계룡산의 중심이 되는 곳이며 기와 혈이 집중하는 곳이라 명당으로 치기도 한다.

등산코스

등산로별코스 구간거리 소요시간
동학사-은선폭포-관음봉-자연성능-삼불봉고개-신흥암-용문폭포-갑사 7.1km 4:00분
동학사-은선폭포-관음봉-자연성능-삼불봉-남매탑-동학사 6.4km 4:00분
동학사-은선폭포-관음봉-연천봉-갑사 5.5km 3:30분
동학사-은선폭포-관음봉-연천봉-고왕암-신원사 5.8km 3:30분
동학사-은선폭포-관음봉-자연성능-삼불봉-남매탑-천정골-집단상가 8.2km 4:30분
동학사-남매탑-큰재배-천정골-집단상가 5.0km 2:30분
동학사-남매탑-삼불봉-금잔디-신흥암-용문폭포-갑사 4.7km 3:00분
집단상가-천장골-남매탑-삼불봉-금잔디고개-용문폭포-갑사 6.3km 3:30분
집단상가-천정골-남매탑-삼불봉-자연성능-관음봉-연천봉-신원사 9.4km 5:00분
갑사-연천봉고개-연천봉-고왕암-신원사 5.5km 3:30분
갑사-연천봉고개-관음봉-자연성능-금잔디고개-신흥암-용문폭포-갑사 7.2km 4:30분
신원사-고왕암-연천봉고개-관음봉-자연성능-삼불봉-남매탑-동학사 7.4km 4:30분
신원사-고왕암-연천봉-관음봉-자연성능-금잔디고개-용문폭포-갑사 7.5km 4:40분
상신주차장-큰골삼거리-금잔디고개 3.1km 1:30분
상신주차장-큰골삼거리-큰배재-남매탑 3.6km 1:30분
계룡산 지도

찾아가는 길

계룡산을 찾아가는 방법은 크게 대전에서 가는 방법과 공주에서 가는 방법이 있다. 대전에서는 동학사와 갑사로 가는 버스가 자주 있으며, 공주에서는 갑사와 신원사행 버스가 많다. 대전에서 동학사 가는 시내버스는 새벽 5:45부터 밤 10:00까지 수시로 있으며, 유성온천과 엑스포 과학공원을 경유한다.

공주에서는 시내버스 터미널에서 갑사, 신원사, 유성으로 가는 시내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시외버스 터미널에서 직행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공주에서 유성까지는 5번 시내버스가 07:10부터 21:30까지 27회 운행하며, 유성에서 상신리까지는 시내버스가 08:40부터 18:50까지 6회, 유성에서 갑사까지는 시내버스가 08:00-19:40까지 14회 운행한다.

승용차

서울 ⇒ 유성 나들목(호남고속도로) ⇒ 동학사 (190㎞) : 2시간 30분

부산 ⇒ 유성 나들목(호남고속도로) ⇒ 동학사 (307㎞) : 3시간 30분

시외버스

서울갑사 (서울 남부 터미널)
첫차 11:30 막차 12:58 배차 3회 소요시간 3:00 (귀환: 첫차 11:40 막차 16:30)

서울신도안(서울 남부터미널)
첫차 05:40 막차 17:30 배차 6회 소요시간 2:20 (귀환: 첫차 07:00 막차 17:30)

대전공주(대전 동부시외버스터미널)
첫차 07:00 막차 21:00 배차 26회 소요시간 1:00 (귀환: 첫차 06:40 막차 22:00)

대전공주(대전 서부시외버스터미널)
첫차 06:29 막차 22:30 배차 8회 소요시간 1:00 (귀환: 첫차 06:50 막차 21:45)

공주갑사(공주 버스터미널)
첫차 06:40 막차 16:00 배차 9회 소요시간 0:25 (귀환: 첫차 09:45 막차 14:50)

갑사대전(갑사 버스정류장)
첫차 09:45 막차 17:50 배차 7회 소요시간 1:00 (귀환: 첫차 07:29 막차 17:50)

시내버스

대전고속버스터미널동학사 : 시내버스 좌석 102, 103번. 소요시간 1:10

대전역동학사 : 시내버스 좌석 102번. 소요시간 1:00

유성시외버스터미널동학사 : 시내버스 좌석 1, 102, 103번. 소요시간 0:15

유성갑사 : 시내버스 좌석 2번. 소요시간 0:40

공주갑사 : 시내버스 좌석 2번. 소요시간 0:35

공주신원사 : 시내버스 좌석 10번. 소요시간 0:40

대전시민회관신도안 : 시내버스 좌석 246번. 소요시간 1:00 (자주 없음)

대전고속버스터미널신도안 : 시내버스 좌석 201(좌석), 201-1, 201-2(좌석) 소요시간 1:00
※ 주의 : 위의 시각들은 계속하여 바뀔 수 있으므로 아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연락처

서울 남부터미널 : 02-521-8550 / 서울 강남터미널 : 02-592-0799

대전 동부시외버스 터미널 : 042-624-4451∼2 / 대전 서부시외버스 터미널 : 042-584-1616∼7

유성 금호고속 터미널 : 042-822-0386 / 유성 시외버스터미널 : 042-823-2240

대전 고속버스 터미널 : 042-823-8255

공주 고속버스 터미널 : 041-855-2319 / 공주 시외버스 터미널 : 041-858-5114 / 공주 시내버스 터미널 : 041-854-3163

갑사 버스정류장 : 041-857-5270

대전역 : 042-257-7788 / 서대전역 : 042-522-7788

두계역 : 042-841-7788

농장소개 상품문의 서비스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공주알밤농원 정보

농원명 : 공주알밤농원 / 대표(농지기) : 이승환 / e-mail : sh091@naver.com

사업자등록번호 : 270-91-00418 / 통신판매업신고 : 공주시 제2017-충남공주-0025호 / GAP 우수농산물인증 GAP인증기관 : 금강 인증센터 제1008962호

금융결재원 결재대금예치업 인터넷안전결재인증 에스크로 PG사 NHN KCP 가맹점

농 원 : 충남 공주시 우성면 봉현리 산44-1번지, 산51-1번지 / 사업장 : 충남 공주시 우성면 보신골길 20

농원 : 041)853-9617 / 휴대폰 : 010-9429-8617 / Copyrightⓒ2005 공주알밤농원.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